전체 글 (200) 썸네일형 리스트형 4. 부동산시장론 A. 부동산시장론 1. 완전경쟁시장 ⓐ 생산자와 소비자수가 다수이다. ⓑ 재화와 서비스가 동질적이다. ⓒ 진입장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초과이윤을 획득할 수 없다. ⓓ 완전정보를 가정한다. ⓔ 부동산시장은 완전경쟁시장이 아니므로 가격이 왜곡된다. 2. 부동산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다. ⓐ 부동산시장은 생산자와 수비자가 소수이다. ⓑ 부동산시장은 개별성에 의해서 재화와 서비스가 이질적이다. ⓒ 부동산은 가격이 고가이고 법적규제가 많아 진입장벽이 존재하고 초과이윤을 획득할 수 있다. ⓓ 부동산시장은 정보가 완전하지 않아 정보의 비대칭이 존재한다. ⓔ 부동산시장은 완전경쟁시장이 아니므로 가격이 왜곡된다. 3. 구체적시장과 추상적시장 - 부동산시장은 구체적시장과 추상적시장 두 성질을 모두 갖추고 있다. - 구체적시.. 3. 부동산의 경기변동 부동산 경기변동 이론 1. 일반적인 경기변동 ⓐ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다는 의미는 생산이 잘되서 판매가 잘된다. ⓑ 경기변동이란 경기가 좋아졌다(확장기). 나빠졌다(수축기)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순환하는 것이다. ⓒ 경기순환은 반복적이며 불규칙적이다. ⓓ 경기변동은 주기, 진폭도 일정하지 않다. 2. 부동산 경기변동 - 부동산경기변동은 순환(cyclical), 추세(trend), 계절(seasonal), 무작위(random)변동으로 나타난다. ⓐ 부동산경기는 일반적으로 주거용 부동산 건축경기를 의미한다. ⓑ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. ⓒ 전순환적: 주식시장 ⓓ 동시순환적: 상업용, 공업용 부동산 ⓔ 후순환적: 일반적인 부동산시장 ⓕ 역순환적: 주거용 부동산 ⓖ 계절적 변동: 반복적.. 부동산의 속성 및 특성 1. 부동산의 속성 ⓐ 공간으로서의 토지는 지표뿐만 아니라 지하와 공중을 포함하는 입체공간을 의미한다. ⓑ 입체공간의 확대로 도시의 고층화, 지하화로 잘 알 수 있다. ⓒ 이전개발권(TDR): 타인에게 개발할 수 있는 권리를 양도해 주는 제도로 개발권양도제라고도 한다. ⓓ 지하권은 사적지하권과 공적지하권이 있는데 석유,석탄같은 광물자원은 공적지하권이다. ⓔ 공중권은 사적공중권과 공적공중권이 있는데 TDR, 일조, 용적률은 사적공중권이고 항공, 전파는 공적공중권이다. ⓕ 공중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구분지상권, 개발권 이전 제도,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 등이 있다. 2. 부동산의 특성 ⓐ 부동성: 토지는 물리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다. 그래서 다음과 같은 특성이 발생한다. - 부동산은 등기로써 공시한다. (.. 이전 1 ··· 61 62 63 64 65 66 67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