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시공간구조이론
버제스동심원이론 호이트 선형이론 해리스울만 다핵심이론 |
1. 버제스의 동심원이론
ㄱ. 버제스의 동심원이론: 거주지 분화 현상의 연구를 통해 도시팽창이 도시내부구조에 미치는 영향
ㄴ. 버제스의 동심원이론 기출지문
- 중심업무지구와 저소득층 주거지대 사이에 점이지대가 위치한다.
- 점이지대는 고급주택보다 도심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다.
- 점이지대는 고소득층 주거지역보다 도심지에 가깝게 위치한다.
- 토지이용이 도시를 중심으로 지대 지불능력에 따라 달라진다는 튀넨의 이론을 도시 내부에 적용
- 도시의 공간구조형성을 침입, 경쟁, 천이 등의 과정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.
- 도시 내부 기능지역이 침입, 경쟁, 천이 과정을 거쳐 중심업무지구, 점이지대, 주거지역으로 분화함
- 도시의 공간구조를 도시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.
ㄷ. 버제스의 동심원이론 키워드
- 튀네이론, 도시에 적용
- 도시공간구조의 형성은 침입 경쟁 천이의
- 도시생태학적 변화과정을 거쳐
- 중심업무지역, 천이지대(점이지대), 근로자(저소득층)주거지역, 중산층(고급)주거지역, 통근자지대로 나뉘어진다.
2. 호이트의 선형이론
ㄱ. 호이트의 선형이론: 중심업무지구, 주택지구등이 교통노선에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배치된다.
ㄴ. 호이트의 선형이론 기출지문
-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분화는 주요 교통축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다.
- 버제스의 동심원이론에 교통축을 적용하여 개선한 이론이 호이트의 선형이론이다.
- 도시는 전체적으로 원을 반영한 부채꼴 모양의 형상으로 그 핵심 도심도 하나이나 교통선의 선이 교통망이 도심에서 방사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.
- 도시의 성장과 분화가 주요 교통망에 따라 확대되면서 나타난다고 보았다.
- 도시공간구조가 교통망을 따라 확장되어 부채꼴 모양으로 성장하고, 교통축에의 접근성이 지가에 영향을 주며 형성됨
-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지역 분화에 있어 중심업무지국으로부터 도매, 경공업지구, 저급주택지구, 중급주택지구, 고급주택지구들이 주요 교통노선에 따라 쐐기형 지대 모형으로 확대배치된다.
- 호이트는 고소득층 주택은 간선도로 근접한 곳에 위치
- 선형이론에 의하면, 고소득층의 주거지는 주요 교통노선을 축으로 하여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.
- 주택가격의 지불능력이 도시주거공간의 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.
ㄷ. 호이트의 선형이론 키워드
- 교통망, 교통축
- 쐐기형 지대 모형(부채꼴)
- 지불능력수준 비슷한 사람들 같은 동네 거주
- 도시구조 교통망에 따라 부채꼴 배치
- 고소득층, 교통망 양호한 지역에 선형으로 입지
3.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이론
ㄱ.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이론: 도시는 복수의 핵심 주변에서 발달한다.
ㄴ.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이론 기출지문
- 유사한 도시 활동은 집적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 때문에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다.
- 상호편익을 가져다주는 활동의 집적지향성을 다핵입지 발생 요인 중 하나로 본다.
- 서로 다른 도시 활동 중에서는 집적 불이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, 이러한 활동은 상호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.
- 도시 활동 중에는 교통이나 입지의 측면에서 특별한 편익을 필요로 하는 기능들이 있다.
- 핵심요소에는 공업, 소매, 고급주택등이 있으며, 도시성장에 맞춰 핵심의 수가 증가하고 특화될 수 있다.
- 도시공간구조는 하나의 중심이 아니라 몇 개의 분리된 중심이 점진적으로 성장되면서 전체적인 도시가 형성된다.
- 다핵심 이론에서 도시는 하나의 중심지가 아니라 몇 개의 중심지들로 구성된다.
ㄷ. 해리스와 울만의 다핵심이론 키워드
- 유사한 직종: 동종 집적
- 불이익 생기는 다른 직종: 상호 분리 - 이종분산
- 중심지 다수
'부동산학개론_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학개론 지대론 (0) | 2023.09.21 |
---|---|
부동산학개론 완전.불완전시장, 효율적시장, 할당효율적시장 (0) | 2023.09.20 |
부동산학개론 - 가격탄력성과 가격/조세 관계 (0) | 2023.09.20 |
부동산학개론 가격탄력성 (0) | 2023.09.20 |
부동산학개론 유량, 저량, 수요와 대체재, 보완재 관계 (0) | 2023.09.20 |